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Tags
- 문학치료사
- 심리상담사자격증
- 학부모교육
- 김호중노래
- 무료심리상담
- 심리상담
- 독서치료사자격증
- 무료심리치료
- 김천심리상담센터
- 독서심리
- 그림책심리지도사
- 미술치료자격증
- 독서심리지도사
- 독서치료
- 부모교육
- 독서심리지도사자격증
- 독서심리치료사
- 독서심리치료사자격증
- 독서치료사
- 무료상담교육
- 심리학강의
- 김호중방송
- 독서심리치료
- 심리학교수
- 문학치료
- 미술심리치료
- 무료상담
- 심리학
- 부부심리상담
- 이재연교수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상담사례관리 (1)
심리이모저모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cvclB/btrE8Ns46ZB/ldoVfXvIKunMhTwkv4FKpK/img.jpg)
사고 과정의 장애(disorder of the thinking process) 사고와 사고 과정에 대한 학문적 이해는 매우 미비한 실정입니다. 정상 과정이 무엇이고, 이상 과정이라면 정상에서 어떻게 벗어나 있는지에 대해 기존 이론이 제시하는 견해와 정작 관찰되는 사고의 이상이 잘 대응되지 않고 있습니다. 환상적 사고(fantasy thinking), 상상적 사고(imaginative thinking), 개념적 사고(conceptual thinking)에 관해 기술합니다. 이를 바탕으로 연상 과정에 의존하고 결정 원리(determining principle)에 지배되는 사고 과정을 설명하는 하나의 모델을 설명할 것입니다. 이 모델은 정신병리 중에서도 까다롭고 복잡한 영역인 사고 형태 이상을 설명하는 근거를..
모음/다양한 이야기
2022. 7. 16. 17: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