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Tags
- 김호중방송
- 그림책심리지도사
- 심리학
- 김호중노래
- 독서심리치료사
- 독서심리
- 독서치료사
- 미술심리치료
- 김천심리상담센터
- 독서심리치료
- 무료상담교육
- 독서치료사자격증
- 독서심리지도사자격증
- 무료상담
- 문학치료
- 부모교육
- 심리학교수
- 문학치료사
- 이재연교수
- 심리상담
- 무료심리상담
- 심리학강의
- 독서치료
- 독서심리지도사
- 독서심리치료사자격증
- 무료심리치료
- 심리상담사자격증
- 부부심리상담
- 학부모교육
- 미술치료자격증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실독증 (1)
심리이모저모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RlWlk/btrszmH0vCo/kYQlXjEDEfGuHNVbnTJjVk/img.png)
최초로 기록된 단어맹(word blindness)의 사례는 1676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독일의 의사 요한 슈미트가 정상적인 읽기능력을 가지고 있던 성인이 발작 후 읽기능력을 상실한 니콜라스 캠비어에 대한 관찰 기록을 춘간한 것이다. 이 기록에 묘사된 후천성 실독증의 개념이 세간에 알려지면서, 이전에는 정상적으로 글을 읽을 수 있었는데 뇌출혈이나 뇌종양, 발작 등을 겪고 나서 읽기능력을 상실한 후천성 실독증(Acquired Alexia)을 겪는 사람들의 이야기가 소설 등에서 묘사되는 경우가 가끔 생겨났다. 1872년 영국의 신경학자 윌리엄 브로드벤트는 단어를 볼 수 있는 시력은 가지고 있지만, 눈에 보이는 단어드을 이해할 수는 없는 환자의 증례를 발표하면서 후천성 읽기장애에 대한 설명을 자세히 기록하였..
모음/독서심리치료사자격증
2022. 2. 5. 13: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