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이모저모

조현병의 혼란스러운 와해된 언어와 와해된 행동에 대해서 본문

모음/독서심리치료사자격증

조현병의 혼란스러운 와해된 언어와 와해된 행동에 대해서

교육심리학자 2023. 5. 15. 11:43
728x90

조현병의 와해된 언어

 

비논리적이고 지리멸렬한 와해된 언어를 뜻하며 조현병의 전형적인 증상 중 하나입니다. 조현병 환자들은 말을 할 때, 목표나 논리적 연결없이 횡설수설하거나 목표를 자주 빗나가 무슨 이야기를 하고자 하는지 상대방이 이해하기 어려습니다. 이러한 와해된 언어행동은 조현병 환자들이 사고장애로 인하여 말하고자 하는 목표를 향해 사고를 논리적으로 진행시키지 못하고 초점을 잃거나 다른 생각이 침투하여 엉뚱한 방향으로 생각이 흘러가기 때문에 나타납니다. 

 

 

조현병 환자들은 심하게 혼란스러운 행동이나 긴장증적 행동을 나타냅니다. 

 

심하게 혼란스러운 행동(grossly disorganized behavior)은 나이에 걸맞은 목표지향적 행동을 하지 못하고 상황에 부적절하게 나타내는 엉뚱하거나 부적응적인 행동을 말합니다. 며칠씩 세수를 하지 않거나 계절이나 상황에 맞지 않는 옷을 입고 나가거나 나이 많은 사람에게 반말을 하는 행동을 나타냅니다. 긴장증적 행동(catatonic behavior)은 마치 근육이 굳은 것처럼 어떤 특정한 자세를 유지하는 경우를 말합니다. 흔히 부적절하거나 기괴한 자세로 몇 시간씩 꼼짝하지 않고 있는 모습을 나타냅니다. 이러한 행동에는 긴장된 자세를 유지하면서 이를 변화시키려는 다른 사람의 노력에 저항하는 긴장증적 강직증, 긴장된 자세를 취한 상태에서 환경을 전혀 인식하지 못하는 긴장증적 혼미증, 긴장된 자세를 움직이게 하려는 지시나 시도에 능동적으로 저항하는 긴장증적 거부증, 목적도 없고 유발자극도 없는 상태에서 과대행동을 보이는 긴장증적 흥분증이 있습니다. 

 

조현병 환자들은 다양한 음성 증상을 나타냅니다. 

 

대표적인 음성증상은 감소된 정서표현과 무의욕증입니다. 감소된 정서표현(diminished emotional expression)은 외부 자극에 대한 정서적 반응성이 둔화된 상태로서 얼굴, 눈맞춤, 말의 억양, 손이나 머리의 움직임을 통한 정서적 표현이 감소된 것을 말하며, 무의욕증(avolition)은 마치 아무런 욕망이 없는 듯 어떠한 목표지향적 행동도 하지 않고 사회적 활동에도 무관심한 채로 오랜 시간을 보내는 것을 뜻합니다. 이 밖에도 말이 없어지거나 짧고 간단하며 공허한 말만을 하는 등 언어반응이 빈곤해지는 무언어증(alogia), 긍정적인 자극으로부터 쾌락을 경험하는 능력이 감소하는 무쾌락증(anhedonia), 다른 사람과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대한 관심이 없는 비사회성(asociability)과 같은 음성증상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