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심리학교수
- 심리학강의
- 부부심리상담
- 김천심리상담센터
- 문학치료사
- 독서심리치료사자격증
- 무료상담교육
- 문학치료
- 미술치료자격증
- 독서치료사
- 무료심리상담
- 독서심리지도사자격증
- 심리상담
- 심리상담사자격증
- 이재연교수
- 부모교육
- 미술심리치료
- 독서치료
- 독서심리치료사
- 무료상담
- 학부모교육
- 무료심리치료
- 김호중방송
- 심리학
- 독서심리치료
- 독서치료사자격증
- 김호중노래
- 독서심리
- 독서심리지도사
- 그림책심리지도사
- Today
- Total
목록책쓰기과정 (2)
심리이모저모

책을 쓰기 위해서는 매일 글을 쓰는 습관이 있어야 합니다. 그래야 250페이지를 기본으로 하는 일반 종이책을 출판할 준비가 됩니다. 많이 들어보셨을 겁니다. 매일 써라. 매일 써라. 많이 써야 글이 는다. 그런데 어떻게 많이 쓰라는 건지 잘 모르시겠지요? 위 아래에 있는 카톡 대화는 저에게 책쓰기 프로그램을 들으시는 분과 나누는 대화입니다. 핵심은 시간, 장소, 대인으로 나눠서 매일 글을 쓰시면 할 말이 넘칩니다. 손가락이 엄청 바쁩니다. 너무 쓸 말이 많은데, 쓸 것이 없다는 분들은 구체적으로 글쓰는 기술을 모르셔서 그렇습니다. 딱! 이 세 가지만 아시면 매일 글을 많이 쓰는 훈련을 할 수 있습니다. 바로 이 세가지 입니다. 1. 시간 2. 장소 3. 대인 시간이라는 것은 아침, 점심, 오후, 저녁, ..

글을 쓰는 것에 대해 불편해한다. 대학교와 교육기관 강단에 선지도 20년이 되어간다. 하지만 사회가 아니리 변해도 변치 않는 것도 적지 않다. 변하지 않는 것 중 하나가 바로 예나 지금이나 말할 줄 모르고 글을 쓰는 것에 대해 불편해하고 두려워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현상은 개선되기는커녕 날로 심화되고 있는 듯하다. 1970년대까지만 해도 방학이 되면 편지를 주고받는 경우가 많고, 80년대는 연하장을 보내는 방식으로 넘어가는 흐름이 있었다. 그래도 이러나 저러나 편지든 연하장이든 따뜻한 글을 담아서 서로에게 표현하는 방식이 여전히 존재했다. 그러다보니 글쓰기가 생활화되어 있었다. 하지만 길게 글을 쓰고 자신의 생각을 담는 것은 그때도 물론 힘들어했던 것은 사실이다. 대학교에서 학생들에게 리포트 과제를 내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