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학부모교육
- 김호중방송
- 무료심리치료
- 문학치료
- 독서심리
- 미술치료자격증
- 심리학
- 무료심리상담
- 이재연교수
- 독서심리치료사자격증
- 미술심리치료
- 심리학강의
- 독서치료
- 독서치료사자격증
- 부모교육
- 김천심리상담센터
- 무료상담교육
- 독서치료사
- 문학치료사
- 심리상담
- 독서심리지도사자격증
- 심리학교수
- 김호중노래
- 독서심리치료
- 독서심리지도사
- 심리상담사자격증
- 독서심리치료사
- 부부심리상담
- 무료상담
- 그림책심리지도사
- Today
- Total
심리이모저모
칭찬하기 좋은 날 칭찬하는 방법 본문
이 글은 한국상담학신문(265-21-00636)에서 발행하는 기사입니다. 여러분의 광고 클릭 한 번이 운영에 큰 도움이 됩니다. 더 깊고 좋은 글 쓰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감사드립니다.
칭찬하는 방법
맞벌이 부부들의 고민 중에 큰 부분을 차지하는 건 자녀교육이 아닐까 싶습니다. 맞벌이를 하면 아무래도 학교에 일일이 관심을 가지는 게 힘들고 가정통신문, 학부모회의, 엄마 봉사 등 다양한 활동에 참여해달라는 권유에 골치 아플 때가 많습니다. 그 중 가장 두려워하는 건 아무래도 학부모 면담일 것인데, 아이에게 무슨 문제가 있는지, 말썽을 피웠는지 파악하기 힘들고 근무시간을 쪼개 학교에 방문한다는 것도 어려운 일입니다. 다양한 학부모 활동에 활발히 활동하는 부모들은 서로 학원, 유학 등 다양한 정보들을 공유하기도 쉽고 선생님들의 눈에 잘 비추기 때문에 자신의 아이들을 더 잘 봐줄 수도 있을지 모른다는 안심이 들기도 합니다. 하지만 왜 그렇게 부모님들은 선생님에게 자신의 아이들을 좀 더 관심 있게 봐달라고 권유하는 것일까요? 그건 바로 어른들의 칭찬이 아이들에겐 긍정적인 성장의 원동력으로 발휘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칭찬하는 방법
칭찬하는 방법, 칭찬하는 방법
캘리포니아 주립대학 로버트 로젠탈(Robert Rosenthal) 교수는 샌프란시스코의 한 초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했습니다. 우선 학생들의 지능을 검사 한 후 그 결과와는 상관없이 20%의 학생들을 무작위로 선정했습니다. 그리고 담임 선생님께는 비밀로 이 아이들은 IQ가 높은 학생들이기 때문에 학업 성취도가 높을 것이라고 말해두었습니다. 담임 선생님은 그 말을 그대로 믿었고, 아이들에게 '공부를 잘 하는 아이'로 칭찬하기 시작했습니다. 8개월 후 그 학생들의 실제로 성적이 놀랄 만큼 향상되었고, IQ 또한 다른 학생들 보다 높게 나왔습니다. 또 다른 실험으로는 학생들을 평가하는 선생님들의 비디오를 소리를 최대한 줄여서 보여주었고, 학생들에게 선생님이 어떤 평가를 하는지 맞춰보게 하였습니다. 칭찬하는 방법, 칭찬하기 좋은 날
칭찬하기 좋은 날 칭찬하는 방법
학생들은 몇 초도 지나지 않아서 선생님이 긍정적인지 부정적인지 평가하는 것을 거의 완벽하게 맞췄다고 합니다. 이 실험들을 통해 알아보자면 긍정적으로 가르치는 선생님들은 더 열정적으로 가르칠 뿐만 아니라 행동과 표정 하나하나에 긍정적인 기대감을 심어줍니다. 누구나 그렇겠지만, 자신을 긍정적이고 존중하며 바라보고 있다는 사람이 있다면, 우리는 그 사람의 기대를 저버리지 않기 위해 더 열심히 노력할 것입니다. 로젠탈 교수는 이것을 '로젠탈 효과(Rosenthal effect)'라고 정의했습니다. 선생님이 기대한 것만큼 아이들이 성장하면, 선생님뿐만 아니라 아이들 모두 자신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받고 스스로 책임지고 노력할 수 있는 능력이 길러집니다. 칭찬하기 좋은 날, 칭찬하는 방법
칭찬하는 방법, 칭찬하기 좋은 날
좋은 학생을 바라보는 선생님의 기대는 학생들의 부응 심리와 만나면서 서로 성장하게 되면서 직접적으로 말하지 않더라도 아이들은 선생님의 행동과 표정에서 모든 감정을 읽어낼 수 있게 됩니다. 이 긍정적인 관계 구도는 반대로 부정적인 관계일 때도 똑같이 나타납니다. 학생들을 부정적으로 바라보는 선생님이 있다면, 그 학생들 또한 선생님의 부정적인 메시지를 그대로 받아들임으로써 서로에게 악영향을 미치게 되기도 합니다. 칭찬을 통해 성장한 아이들은 어른이 되어서까지 긍정적인 내면과 성실함을 가진 경우가 많지만, 선생님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강한 아이들은 '상처'로 각인되어 우울하고 힘든 학창시절을 보내는 경우가 많습니다. 아이들의 기억은 생각보다 강합니다. 어른들의 한 마디에 자신의 일생이 담겨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좋은 선생님이라면 아이들의 개성과 능력을 발견해주고, 그것을 발전시켜줄 수 있어야 합니다. 칭찬하기 좋은 날, 칭찬하는 방법
칭찬하는 방법, 칭찬하기 좋은 날
아이들은 누구보다 민감한 존재이기 때문에, 선생님의 칭찬이 진짠지 거짓인지 구분할 수 있습니다. 거짓이거나 무조건적인 칭찬은 오히려 아이들에게 역효과일 수 있습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진심으로 아이들을 응원하고 있다는 격려와 기대를 심어주는 것입니다. 아이들 앞에서 있는 어른들은 다른 때보다 신중하고 조심하게 행동해야 합니다. 아이들의 교과서는 부모님, 선생님 그 자체이기 때문입니다. 칭찬하는 것은 정말 중요하지만, 어떤 점을 어떻게 칭찬해야 하는지 파악할 수 있어야 합니다. 또한 어른들이 원하는 아이들의 모습은 아이들 스스로가 원해야 합니다. '좋은 학교에 가면 좋은 직장을 얻는다.', '지금 보다 더 잘해야 한다!', '성적이 떨어지면, 너한테 실망할지도 몰라.'라는 말은 제대로 공감하기 힘들 뿐만 아니라, 더 강압적이게 느껴지기 때문에 오히려 두려움이 생길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합니다. '너는 더 잘할 수 있는 아이야. 너는 네가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멋진 아이야.' '어떤 결과가 나오든 너에겐 소중한 경험이 될 거야.'라고 말할 수 있다면, 아이들은 어른들에게 잘 보이기 위한 노력을 넘어 스스로가 행복해지는 법을 깨우치게 될지도 모릅니다. 어른들이 원하는 모습이 아닌, 아이들이 원하는 꿈을 위해 진심으로 응원해줄 수 있는 어른이 되길 바랍니다. 칭찬하는 방법, 칭찬하기 좋은 날
'Korean Poetry > 한국상담학신문 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내가 양육할 때 남편에게 해야 할 일들 (0) | 2018.02.02 |
---|---|
심리학 책 추천 (0) | 2018.01.26 |
가족 로맨스(Family Romance) (0) | 2018.01.17 |
심리상담센터는 어떤 곳인가? (0) | 2018.01.15 |
소개팅 10가지 (0) | 2018.0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