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심리상담
- 무료심리상담
- 독서심리
- 심리학교수
- 독서심리치료사자격증
- 심리상담사자격증
- 그림책심리지도사
- 김호중방송
- 부부심리상담
- 무료심리치료
- 독서치료사
- 김호중노래
- 심리학
- 미술심리치료
- 문학치료사
- 무료상담교육
- 독서치료사자격증
- 김천심리상담센터
- 이재연교수
- 독서심리지도사자격증
- 무료상담
- 독서심리치료
- 문학치료
- 학부모교육
- 심리학강의
- 독서심리지도사
- 부모교육
- 독서심리치료사
- 독서치료
- 미술치료자격증
- Today
- Total
목록Korean Poetry/한국상담학신문 칼럼 (36)
심리이모저모
1. 산후우울증 상식 : 스스로가 아픈지 모른다. 산후우울증의 상식 1위는 바로 스스로가 아픈지 안 아픈지 잘 모른다는 것입니다. 스스로를 객관적으로 바라볼 힘이 없어집니다. 그냥 아픈 상태를 유지하고 받아들여서 아파하게 됩니다. 이 때 주변의 가족과 지인들 혹은 친구들의 관찰력과 관심 그리고 적극적인 치료 권유가 중요합니다. 본인 스스로는 우울증으로 힘든지 자체를 깨닫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무관심한 남편을 둔 경우, 아이들은 산후우울증에 많이 걸립니다. 무관심만 없어서 산후우울증은 한결 감기같을 수 있습니다. 이 대목에서 남편분들의 관심과 사랑!!! 아내들에게 산후 직후!!! 정말 중요합니다. 세상에서 가장 사랑을 많이 줘야 하는 시점입니다. 우울증 상식 1위 입니다. 남편들은 이 우울증 상식 1위를 ..
1. 우리 아이 독감 관리법 : 손발 씻기기! 우리 아이 독감 관리법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 밖에 나갔다 오거나 잠깐이라도 타인들 혹은 밖의 물건을 만지는 경우에는 손과 발을 철처하게 씻겨줘야 독감에 걸리지 않습니다. 손은 눈과 코 그리고 입으로 자주 가는 대상입니다. 손에 뭍여있는 바이러스는 무조건 구멍이라는 구멍으로 가지 않게 깨끗하게 씻어주어야 합니다. 손뿐만 아니라 발도 그렇습니다. 손만 씻고 발을 씻지 않으면 대부분 우리 아이들은 깨끗하게 씻은 손으로 바이러스가 가득한 발을 만지작 만지작 하면서 손에다 옮겨버립니다. 그리고는 다시 그 손을 눈과 코 그리고 입으로 가져가 독감을 유발합니다. 무조건 위생이 '우리 아이 독감 관리법' 1위 입니다. 2. 우리 아이 독감 관리법 : 가글을 시킨다! 독감에..
1. 자신감 없는 아이 심리상담(1) Q 20살 딸, 16살 딸, 6세 아들 이렇게 세 명의 자녀를 키우는 맘입니다. 늦둥이 아들이라서 남자답게 키우고 싶은 맘이기도 합니다. 두 딸은 너무 얌전하고 예의 바르게 성장했습니다. 아들도 자신감이 넘치게 키우고 싶은데, 아들은 좀 다른 것 같습니다. 늘 소극적이고, 잘하는 것 같은데도 뒤로 숨고, 무조건 엄마가 해줘, 누나가 해줘 라고 합니다. 처음에는 다 받아줬는데, 너무 의존하는 것 같고, 그것이 아니다 라고 생각하여 지금은 스스로 하게 합니다. 잘하면서도 못한다고 말하는 아이를 어떻게 해 줘야 하나요? A 어머님께서 생각하신 만큼 자신감이 부족한 아이는 아닐 수 있겠다란 생각이 많이 듭니다. 자신감이 부족하기 이전에 자존감 부분을 먼저 봐야 할 듯 합니다..
1. 사회공포증이란 무엇일까요? Q 4살 남아를 키우는 맘입니다. 사실, 아들은 너무 조용하고 소심한 편입니다. 때로는 흔히 다른 아이들처럼 개구장스럽기를 바랄 때도 있었습니다. 야단을 맞거나 심기를 분편하게 하는 행동을 하진 않습니다. 그러나 제가 제 감정에 괜히 짜증을 내기도 합니다. 종로에서 뺨맞고 한강 가서 눈흘긴다.'는 우리나라 속담이 있듯이, 제가 시댁과의 갈등이 생기면, 아들에게 무섭게 화를 내기도 합니다. 아들은 제 눈치만 봅니다. 그 모습도 왜 이리 화가 나는지.. 밤이 되면 혼자 울기도 합니다. 제가 너무나 싫습니다. 2. 사회공포증이 생기는 원인은 무엇일까요? A 어머니 스스로 죄책감과 미안한 마음으로 많이 힘들어 보이십니다. 어떤 말이 도움이 될런지는 모르겠습니다. 남편하고 갈등이 ..
대부분의 사람은 어려운 과제나 상황에 처했을 때, 내가 과연 이일 완수할 수 있을까?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까? 라며 걱정한다. 실제로 능력이 있어도, 능력이 부족하다고 생각합니다. 이런 생각과 경험을 반복하면서 점차 자신이 할 수 있는 일이 없다는 부정적인 태도를 보이게 됩니다. 이와 관련된 심리학 용어를 자기효능감(self-efficacy)이라고 합니다. 자기효능감이란 자신이 어떤 일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고 믿는 기대와 신념을 말합니다. 자기효능감은 사람이 노력하는 모든 영역에 영향을 미칩니다. 한 예로, 다이어트 하는 사람이 있습니다. 그(그녀)는 살을 빼자는 목표를 세우고 운동을 시작합니다. 당연히 그 과정은 지치고, 힘이 듭니다. 그런데도 계속하는 이유가 무엇일까요? 그것..
이 글을 읽으시면서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글 위/아래 혹은 가운데 들어가 있는 '광고' 클릭 한 번만 부탁드립니다. 여러분의 클릭 한 번이 큰 도움이 됩니다. 앞으로 더 건강한 글을 쓸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1. 착한아이증후군에서 벗어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Q 두 아들을 키우고 있는 엄마입니다. 첫째는 7살이고 둘째는 3살입니다. 둘째 돌잔치 지나고 얼마 안 있어서 남편이 교통사고로 가족을 떠났습니다. 작년까지 너무 힘들고 그냥 하루하루가 무기력했습니다. 어떻게 지냈는지도 모르게 흘러갔습니다. 최근 몇 달 그래도 정신을 차리고 보니 둘째보다 첫째가 심하다 싶을 정도로 저를 챙기는데 이상한 기분이 들었습니다. 안쓰럽기도 하고 든든하기도 했습니다. 가끔은 엄마인 저를 통제하..